선수들에게 이런 장애물을 최소화해주기 위해 FA 등급제가 생겼다.
연차, 연봉,FA 횟수 등을 고려해 선수들의 등급을 나눴다. C등급으로 분류된 선수는 팀을 옮겨도 보상 선수가 필요 없다.

C등급 선수는 이적에 한결 부담을 덜 수 있다. 그런데 지금 시장엔 C등급 선수가 두 명이나 남아 있다. 투수 강리호와 외야수 이명기가 주인공이다.
기록을 따져보면 이명기는 미스터리에 가깝다.
2008년 SK에서 데뷔해 지난해까지 통산 타율 0.307을 기록했다.
지난해 타율이 0.260으로 부진했지만 2021시즌에만 해도 0.293의 고타율을 기록한 선수다.
에이징 커브를 걱정할 수는 있다. 이제 만으로 36세가 된다. 하지만 정확성과 스피드는 여전히 살아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코로나 술판 파문에 연루된 선수이긴 하지만 동석했던 박민우는 NC와 초대형 계약을 했다. 꼭 그 이유만이라고 하긴 어렵다.
원소속 구단인 NC의 냉대 속에 갈 곳을 찾지 못하고 있다. 뚜렷이 관심을 두고 있다는 구단도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유가 뭘까.
절대다수의 단장들은 샐러리캡의 영향을 이야기했다. 샐러리캡에 대한 부담이 이명기 영입을 주저하게 만든다는 것이었다.
A구단 단장은 “현재 어렵게 샐러리캡을 맞춰 놓은 상태다. 매년 자연 인상분이 있을 수밖에 없다. 지금 조금 여유가 있다고 해도 내년 이후 상황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추가 지출은 어렵다. 이명기는 이제 필수 전력이라 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확실한 백업도 아니다. 몸값을 책정하기가 대단히 힘들다. 샐러리캡 영향을 받지 않고 영입할 만큼 꼭 필요한 선수인지에 대한 회의가 있다. 필요 선수라면 일찌감치 계약이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B구단 단장도 결국 샐러리캡에 대한 부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B 구단 단장은 “1년 전에만 FA로 나왔어도 이명기는 인기 좋은 FA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젠 샐러리캡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보험용 선수로는 이명기의 가치가 높지만 당장 주전으로 쓰기엔 기량 저하게 눈에 띄게 이뤄지고 있다. 이명기측이 몸값을 대폭 낮출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들어가야 할 비용은 어차피 들게 돼 있다. 이젠 그 정도도 샐러리캡 때문에 부담이 된다. 각 팀마다 꼭 필요한 선수가 아니면 최대한 손을 내밀지 않는 것이 일반화됐다고 생각한다. 이명기는 쓸모가 있는 선수지만 반드시 필요한 자원은 아니다. 샐러리캡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구단들은 더욱 필요성이 떨어질 것이다. 안 좋은 시기에 FA로 나온 것이 이명기에게 치명적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샐러리캡의 위력은 우리가 생각했던 것 그 이상이다. 몇몇 하위권 팀을 제외하곤 모두가 샐러리캡에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명기는 샐러리캡 이라는 장벽에 갇혀 자칫 무적 상태가 장기화할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